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8)
선박 및 해양설계에 사용되는 유용한 툴(Tools)들 소개 어렸을 때는 누구나 바다 위에 어떻게 저렇게 거대한 배가 떠 있을 수 있을까? 하는 호기심이 생기기 마련인데요. 그래서 바다와 거대한 배에 매료된 아이들은 나중에 큰 선박을 직접 만들어 항해를 하는 원대한 꿈을 키우기도 합니다. 그런 원대한 꿈을 현실로 만든 이들이 바로 조선해양공학기술자입니다. 다양한 선박을 연구하고 설계하고 해양구조물의 시공과 관리 등과 관련된 일을 하는 특수한 분야의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선박설계의 원리, 선박설계의 환경조건 등의 조선해양공학기술을 바탕으로 선박 및 해양구조물을 설계하고 건조합니다. EZ-Ship EzSHIP은 선박의 성능을 결정하는데 아주 중요한 초기/기본 설계 단계에서 선형 설계(EzHULL), 기본 설계(EzCOMPART), 더 나아가 구조 설계(EzSTRUCT..
해양플랜트 종류 및 활용 요즘 이슈가 되고있는 해양플랜트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해양플랜트는 바다 위에 설치하여 찬연가스, 석유 등의 천연자원을 뽑아내는 일련의 구조물을 말한다. 해양 천연자원이 풍부한 국가들이 주로 보유하고 있다. 해양플랜트는 넓은 의미로 바다에 설치되는 다양한 구조물을 뜻하며, 영어로는 "Offshore Plant" 또는 "Offshore Platform"이라고 합니다. ​해양플랜트 즉, Offshore Plant의 뜻은 앞바다에 있는 대규모 기계류의 시설, 공장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쓰이는 해양플랜트의 복합적인 의미는 석유, 가스 등의 해양자원을 발굴, 시추, 생산하기 위한 자원개발 활동에 필요한 장비, 시설을 총칭하며 이와 같이 쓰이는 해양플랜트 산업의 의미는 해양플랜트를 건..
천연자원의 보고, 북극해 연구를 위한 연구쇄빙선 건조 경쟁 세계 각국의 연구쇄빙선 경쟁, 한국은? ​ 한국이 보유한 7,500톤급 쇄빙연구선 ‘아라온(ARAON)호’. 1년 중 70% 이상을 남극에서 지내 북극 연구에는 연간 15일 밖에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 극지연구소 제공 - 주인 없는 천연자원의 보고, ‘21세기 보물섬’ 북극을 차지하기 위한 강대국들의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자원의 보고이자 생태연구의 미개척지인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 새로운 항로와 자원 지대가 드러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21세기 중반 무렵 북극해에서 빙산이 완전히 사라져 전 세계 미개발 원유의 25%, 천연가스의 45% 정도가 채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북극 항로는 기존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것보다 여정이 10여..
고부가가치 선박인 셔틀탱커 (Shuttle Tanker) 탱커(Tanker) 배(Ship) 안을 여러개의 큰 구획(Compartment)으로 나눠 액체화물(원유, 정제유 등)을 적재해 운송하는 탱크(Tank)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배들을 총칭해 ‘탱커(Tanker)’라고 부른다. ​ 탱커(Tanker)는 선적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데, 원유를 전문으로 운송하는 선박을 흔히 ’유조선(COT, Crude Oil Tanker)’이라고 부르며 가장 많이 알려진 선종이다. ​ 또한 원유를 정제해 얻어진 제품(Product), 나프타·항공유·등유·경유·중유·윤활유 등을 운반하는 선박을 ‘석유제품운반선(PC, Product Carrier)’이라고 부른다. ​ 그리고 여러 종류의 화학제품을 액체상태 그대로 운송하거나 용기에 담아 운송하는 특수 운반선은 ‘화학제품..
국내 운항 여객선, 도선 및 유선, 어선도 친환경 선박으로 바꾼다 * 국외 운항 화물선에서 국내 운항 선박까지 적용 범위 확대 ​ * 모든 종류의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도 포함 ​ * 해수부 공공 선박(관공선)은 2030년까지 모두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 ​ ​ 정부가 도입을 지원하는 친환경 선박의 종류가 기존의 국외 운항 화물선에서 국내 운항 여객선과 어선 등으로 대폭 확대된다. ​ 세월호 참사 이후 2014년 7월 해운법과 해운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여객선 운항 선령 만료가 30년에서 25년으로 조정됐다. 하지만 제주와 다른 지방을 잇는 정기여객선의 절반 이상이 낡아 교체 시기가 다가왔으나, 대체선박 투입이 늦어지면서 휴가철 뱃길 공백이 예상된다. '유선'과 '도선'의 차이 (유선 및 도선 사업법 제2조 참조) 유선 : 유람선 상호를 사용하며, 관광 및 경치 ..
배에서 일하는 사람들 이야기 우리가 부둣가나 항구 또는 바닷가나 강을 가게되면 바다나 강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크고 작은 많은 배를 보게된다. 그러면 저 배는 무슨 배며, 무엇을 싣고 오고 실어 나가는지? 또 어떻게 운항하고 어떤 사람들이 타고 있을까 궁금해지기도 할 것입니다. 먼저, 배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을 선원(船員, seaman, sailor, officer)이라고 말합니다. 선원은 바다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은 만큼 바다를 좋아해야 하며, 엄격하게 통제되는 선상생활에서 장기간 가족과 떨어져 생활해야 하는 어려움과 외로움을 견딜 수 있는 강한 정신력이 필요하다. 또한, 여러 사람이 장시간 좁은 공간에서 함께 생활하기 때문에 원활한 인간관계를 형성해야 하며, 협동심도 필요하다. 선원, 전 세계 바다를 누비다, ‘해기사’란? 해기사..
재미있는 배 이야기 재미있는 배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자~그럼 본격적으로 배를 알아보는 항해을 떠나볼까요? 출발~ ^o^ 보통 선박을 가까이서 보면 육중하고 어마어마한 크기에 놀라게 되는데요. 이러한 선박의 크기는 곧 운반능력을 나타낸답니다. 선박의 크기는 발주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크기, 선형 및 속력 등을 결정하고 설계에 들어갑니다. 이때 배 자체의 무게와 실을 수 있는 화물의 무게를 고려해서 크기와 모양이 정해지는 것이죠. ​ 그럼 먼저 배 또는 선박의 정의 및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람이나 짐 따위를 싣고 물에 떠서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구조물인 '배'는 주로 운송수단으로서의 역활을 하며, 조금 격식있게 말하자면 선박(船舶)이라고도 합니다. ​ Ship, Vessel, Boat 가 우리 말로는 모두 '배'..
선박의 주요 특징에 따른 분류 바다에 떠 있는 큰 선박들을 가끔 볼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이 선박이 어떤 선박인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대부분의 선박들은 몇 가지의 특징들만 알면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 화물선의 뱃머리 아랫부분에 원통이 툭 튀어나와 있다면 이 선박은 컨테이너선 이거나 액화천연가스 선입니다. 이 튀어나온 부위는 파도를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선박이 운행할 때 발생하는 파도와 맞부딪혀 파도를 상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선박이 컨테이너를 싣고 있으면 컨테이너선 아니면 액화천연가스선(LNGC)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건화물이나, 광석, 모래 등을 운반하는 벌크선은 이 튀어나온 부분(구상선수)가 특별히 나와있지 않습니다. 유조선도 마찬가지인데 벌크선과 유조선은 크고 넓게 퍼진 모양새를 하고 ..
선박 주기관(Main Engine)의 종류 및 특징 선박 주기관 엔진(Engine)은 선박에서 심장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심장이 우리를 숨쉬게 하고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듯이, 엔진 역시 끊임없는 반복 과정을 통해 선박이 앞으로 추진할 수 있는 힘을 만들어 낸다. 물론 반대로 엔진의 멈춤은 곧 항해의 정지를 의미하는 매우 중대한 의미임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주기관은 선박의 추진(Propulsion)을 위해 이용되는 기관(Engine)이며, 기관은 어떠한 에너지를 기계적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선박 주기관의 종류 선박 주기관(Main Engine)의 종류는 외연기관인 증기기관(Steam Engine)과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으로 대별된다. ​외연기관(外燃機關, External Combustion Engine)은 ..
선박설계의 구분, 과정, 역활 및 특징 선박 건조에 있어 설계는 선박의 뼈대를 갖추는 일이라 할 수 있는데, 그 규모가 일반적인 제품과는 달리 거대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설계 또한 다양한 분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 조선소의 설계부서는 크게 선체설계와 의장설계 두 개로 나뉘어 운용되고 있는데, 각 부서별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봅시다. 선박설계에 필요한 기본 지식 1. 선박 구조를 이해한다. 2. 선박 건조 과정을 이해한다. 3. 선박 시스템을 이해한다. 4. 선박 장비에 대해 이해한다. 5. 각 설계부서 업무를 이해한다. 6. 3D VIEW를 이해한다. 7. 의장품의 종류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8. 의장품 설치기준(조선소 표준 PRACTICE)에 대해 이해한다. 9. 조선해양 CAD PROGRAM에 대한 이해와 사용법을 알고 있어야..